![]()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현실을 직시하자면, 2024년은 이더리움의 기술적 성공의 해였지만 재정적으로 실망스러운 해이기도 했습니다.
Ethereum had a year of technological triumphs in 2024, but it was also a year of financial letdowns.
이더리움은 2024년에 기술적 승리의 해를 보냈지만 재정적 침체의 해이기도 했습니다.
On the one hand, Dencun was finally rolled out, and Layer 2 activity in the ecosystem soared 4x.
한편, Dencun이 마침내 출시되었고 생태계의 레이어 2 활동이 4배나 급증했습니다.
On the other, Ethereum began to lag behind Solana in terms of the number of developers, and ETH’s dynamics did not meet investors’ expectations.
반면, 이더리움은 개발자 수 측면에서 솔라나에 뒤처지기 시작했고, ETH의 역학은 투자자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But Ethereum’s technological structure sets it up for strong growth. Today, we already have all the tools to create more convenient and efficient solutions. It is their implementation that remains a challenge.
그러나 이더리움의 기술 구조는 강력한 성장을 가능하게 합니다. 오늘날 우리는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인 솔루션을 만들 수 있는 모든 도구를 이미 갖추고 있습니다.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는 것은 구현입니다.
In this article, we take a look at the main changes that Ethereum will face in 2025 and how new technological concepts and a growing focus on real-world applications can finally make the protocol truly user-friendly for the masses.
이 기사에서 우리는 이더리움이 2025년에 직면하게 될 주요 변화를 살펴보고 새로운 기술 개념과 실제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마침내 프로토콜이 대중에게 진정으로 사용자 친화적인 프로토콜이 될 수 있는 방법을 살펴봅니다.
Native Interoperability in L2 Clusters
L2 클러스터의 기본 상호 운용성
Currently, most projects that operate on multiple rollups have to rely on bridges (like Across) or custom solutions to interact between networks. There is no full-fledged native interoperability yet – everything is tied to separate protocols that manually stitch the ecosystem together.
현재 여러 롤업에서 작동하는 대부분의 프로젝트는 네트워크 간 상호 작용을 위해 브리지(예: Across) 또는 사용자 지정 솔루션에 의존해야 합니다. 아직 본격적인 기본 상호 운용성은 없습니다. 모든 것이 생태계를 수동으로 연결하는 별도의 프로토콜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However, by 2025, I expect that native interoperability will appear at least within certain L2 clusters (superchain, elastic chain, aggregation layer). This means that transactions and data will be able to move between different rollups quickly and reliably without bridges, centralized oracles, or intermediaries.
그러나 2025년에는 최소한 특정 L2 클러스터(슈퍼체인, 탄력적 체인, 집합 레이어) 내에서 기본 상호 운용성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는 트랜잭션과 데이터가 브리지, 중앙 집중식 오라클 또는 중개자 없이 서로 다른 롤업 간에 빠르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Indeed, Vitalik Buterin believes that the main problem remains the lack of unified cross-chain standards that would be accepted by most rollups. But even without this, the fact of the emergence of built-in interoperability will form a new narrative in Layer 2 and attract more resources to this topic, as well as draw more attention.
실제로 Vitalik Buterin은 대부분의 롤업에서 수용할 수 있는 통합된 크로스체인 표준이 없다는 것이 주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것이 없더라도 내장된 상호 운용성의 출현 사실은 레이어 2에서 새로운 이야기를 형성하고 이 주제에 대해 더 많은 리소스를 끌어들이고 더 많은 관심을 끌 것입니다.
And breakthrough products only emerge from developers’ energy. New standards for interoperability between rollups can be the key to better decentralised applications and true Web3 innovation.
그리고 획기적인 제품은 개발자의 에너지에서만 탄생합니다. 롤업 간 상호 운용성에 대한 새로운 표준은 더 나은 분산형 애플리케이션과 진정한 Web3 혁신의 열쇠가 될 수 있습니다.
EIP-7702: A New Level of UX and Security in Ethereum
EIP-7702: 이더리움의 새로운 수준의 UX 및 보안
If you follow the development of Ethereum, you have definitely heard about EIP-7702, one of the most significant proposals for improving UX and account security. In fact, it is an evolution of EIP-4337, but with native integration right at the protocol layer.
이더리움의 개발 과정을 따라오셨다면 UX 및 계정 보안 개선을 위한 가장 중요한 제안 중 하나인 EIP-7702에 대해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실제로 이는 EIP-4337의 발전이지만 프로토콜 계층에서 바로 기본 통합이 가능합니다.
What does this mean in practice? EOA accounts (traditional wallets such as MetaMask) will be able to execute arbitrary code within a transaction. In simple terms, they will be able to actually turn into AA wallets (Account Abstraction, EIP-4337). This opens up a lot of new opportunities:
이것이 실제로 무엇을 의미합니까? EOA 계정(MetaMask와 같은 기존 지갑)은 거래 내에서 임의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실제로 AA 지갑(Account Abstraction, EIP-4337)으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이는 많은 새로운 기회를 열어줍니다.
Thus, Ethereum will become more convenient and accessible, removing restrictions for billions of users. If this proposal is implemented, it will be a real revolution in Web3 UX and security.
따라서 이더리움은 수십억 명의 사용자에 대한 제한을 제거하여 더욱 편리하고 접근 가능하게 될 것입니다. 이 제안이 실행된다면 Web3 UX와 보안에 있어서 진정한 혁명이 될 것입니다.
Time to build dApps
dApp을 구축할 시간
Everyone sees it, but it’s time to finally act. The Ethereum community has been focusing on the infrastructure layer for too long, losing ground in what really matters to a user – applications. While Ethereum has been busy discussing modularity and new L2 architectures, strong alternatives have emerged in the realm of real products.
모두가 그것을 보지만 이제 마침내 행동할 시간입니다. Ethereum 커뮤니티는 너무 오랫동안 인프라 계층에 집중해 왔으며 사용자에게 실제로 중요한 것, 즉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반을 잃었습니다. Ethereum이 모듈성과 새로운 L2 아키텍처를 논의하느라 바쁜 동안 실제 제품 영역에서 강력한 대안이 등장했습니다.
It’s time to shift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decentralised applications that streamline tangible utility. Projects such as Warpcast, Farcade Games, Fileverse, Polymarket, and others demonstrate how to build convenient services on the blockchain. And, of course, we cannot ignore AI agents that will become an important element of the ecosystem.
이제는 실질적인 유틸리티를 간소화하는 분산형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관심을 돌릴 때입니다. Warpcast, Farcade Games, Fileverse, Polymarket 등과 같은 프로젝트는 블록체인에서 편리한 서비스를 구축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물론 생태계의 중요한 요소가 될 AI 에이전트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This trend will be the main focus of our new hackathon, which we are running in Kyiv with Zero1 Labs and IdeaSoft on board. It will be entirely dedicated to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I agents in the blockchain ecosystem.
이러한 추세는 Zero1 Labs와 IdeaSoft가 참여하는 키예프에서 진행되는 새로운 해커톤의 주요 초점이 될 것입니다.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AI 에이전트의 개발 및 구현에 전적으로 전념할 것입니다.
However, there is another “but”. Applications must conceive all the technical complexities of modular Ethereum for a user. This has been one of the biggest challenges for the ecosystem in recent years. Today, if you have assets on Base and need to conduct a transaction on Arbitrum, you will face difficulties. Yes, Across and other blockchain protocols partially solve this problem, but only under certain conditions:
그러나 또 다른 "그러나"가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를 위해 모듈형 이더리움의 모든 기술적 복잡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는 최근 몇 년간 생태계의 가장 큰 과제 중 하나였습니다. 오늘날 Base에 자산이 있고 Arbitrum에서 거래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 어려움에 직면하게 될 것입니다. 예, Across 및 기타 블록체인 프로토콜은 이 문제를 부분적으로 해결하지만 특정 조건에서만 가능합니다.
For decentralised applications to become widespread, they need to function not just conveniently, but invisibly to the user. This is exactly what the Ethereum ecosystem lacks today, and this is where the future lies.
분산형 애플리케이션이 널리 보급되려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게 작동해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오늘날 이더리움 생태계에 부족한 점이며, 여기에 미래가 놓여 있습니다.
What do I expect in 2025?
2025년에는 무엇을 기대하나요?
Applications that will completely hide the technical complexity of the UX and allow users to not think about whether they have ETH or USDC stored on L2.
UX의 기술적 복잡성을 완전히 숨기고 사용자가 L2에 ETH 또는 USDC를 저장했는지 여부를 생각하지 않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입니다.
Yes, native interoperability is important, but the main thing is that it is no longer the future, but a reality: most of the necessary tools to create such an experience already exist.
예, 기본 상호 운용성은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이것이 더 이상 미래가 아니라 현실이라는 것입니다. 이러한 경험을 만드는 데 필요한 대부분의 도구가 이미 존재합니다.
Despite this, we still do not see radical changes in UX, and Web3 is still inconvenient for the mass user. I hope that 2025 will be the moment when this situation finally starts to change.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여전히 UX의 급격한 변화를 보지 못하고 있으며 Web3는 여전히 대중 사용자에게 불편합니다. 2025년은 마침내 이러한 상황이 바뀌기 시작하는 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Mentioned in this article
이 기사에서 언급됨
Rost
로스트
부인 성명:info@kdj.com
제공된 정보는 거래 조언이 아닙니다. kdj.com은 이 기사에 제공된 정보를 기반으로 이루어진 투자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암호화폐는 변동성이 매우 높으므로 철저한 조사 후 신중하게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본 웹사이트에 사용된 내용이 귀하의 저작권을 침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즉시 당사(info@kdj.com)로 연락주시면 즉시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
-
-
-
-
-
- 이슬람의 동전
- 2025-04-08 03:45:11
- 이 전시회는 방문객들에게 주화를 통해 이슬람 세계의 풍부한 예술적, 문화적 유산을 드물게 엿볼 수있게합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