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총액: $3.4308T -2.710%
거래량(24시간): $94.7595B -23.680%
  • 시가총액: $3.4308T -2.710%
  • 거래량(24시간): $94.7595B -23.680%
  • 공포와 탐욕 지수:
  • 시가총액: $3.4308T -2.710%
Cryptos
주제
Cryptospedia
소식
CryptosTopics
비디오
Top News
Cryptos
주제
Cryptospedia
소식
CryptosTopics
비디오
bitcoin
bitcoin

$102418.358867 USD

-1.97%

ethereum
ethereum

$3298.096549 USD

1.21%

xrp
xrp

$3.048127 USD

-1.30%

tether
tether

$0.999866 USD

-0.01%

solana
solana

$231.464380 USD

-2.61%

bnb
bnb

$675.655067 USD

-0.56%

usd-coin
usd-coin

$0.999928 USD

-0.01%

dogecoin
dogecoin

$0.327988 USD

-0.25%

cardano
cardano

$0.945324 USD

-1.12%

tron
tron

$0.256233 USD

0.65%

chainlink
chainlink

$25.471085 USD

1.61%

avalanche
avalanche

$34.603954 USD

-1.17%

stellar
stellar

$0.416369 USD

-2.01%

sui
sui

$4.058447 USD

-3.89%

toncoin
toncoin

$4.893106 USD

1.10%

암호화폐 뉴스 기사

Evernode는 XRPL에 스마트 계약 실행을 제공하기 위해 Hooks 및 Codii 토큰을 제안합니다.

2024/09/29 23:37

XRP Ledger(XRPL) 프로그래밍 가능성의 미래에 관한 최근 토론에서 Evernode 공동 창립자인 Scott Chamberlain은 거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Hooks와 새로운 토큰인 Codii를 포함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안했습니다.

Evernode는 XRPL에 스마트 계약 실행을 제공하기 위해 Hooks 및 Codii 토큰을 제안합니다.

Scott Chamberlain, co-founder of Evernode, has put forth a proposal for enhancing XRP Ledger (XRPL) transaction functionality with the addition of Hooks and a new token called Codii. The aim is to introduce smart contract execution on XRPL while keeping user costs in check.

Evernode의 공동 창립자인 Scott Chamberlain은 Hooks와 Codii라는 새로운 토큰을 추가하여 XRP Ledger(XRPL) 거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안을 제시했습니다. 목표는 사용자 비용을 억제하면서 XRPL에 스마트 계약 실행을 도입하는 것입니다.

“I have a proposal for how to bring programmability to the XRPL. It is selfishly structured to allow EvernodeXRPL to exist on mainnet,” he stated.

“저는 XRPL에 프로그래밍 기능을 추가하는 방법에 대한 제안이 있습니다. EvernodeXRPL이 메인넷에 존재할 수 있도록 이기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The Two Elements, Hooks and Codii”

“두 가지 요소, Hooks와 Codii”

Chamberlain’s proposal introduces two key elements. First, Hooks — a flexible, low-cost system proven to support decentralized applications, such as Evernode. The system automates tasks like registration, reputation scoring, and governance for network hosts, offering a seamless solution for transaction execution.

Chamberlain의 제안은 두 가지 핵심 요소를 소개합니다. 첫째, Hooks는 Evernode와 같은 분산형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것으로 입증된 유연하고 저렴한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네트워크 호스트에 대한 등록, 평판 점수, 거버넌스 등의 작업을 자동화하여 트랜잭션 실행을 위한 원활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Evernode has four “chained” Hooks. The Heartbeat Hook holds all the EVR not in circulation and distributes it to Hosts rewards according to the rewards logic. The second Hook is the Network Registry. The third Hook manages the Reputation system. And the final Hook is the Governance Hook. It contains the rules by which holders of registration NFTs can vote on changes to the Hook.

Evernode에는 4개의 "체인으로 연결된" 후크가 있습니다. Heartbeat Hook은 유통되지 않는 모든 EVR을 보유하고 보상 논리에 따라 호스트 보상에 배포합니다. 두 번째 후크는 네트워크 레지스트리입니다. 세 번째 Hook은 평판 시스템을 관리합니다. 그리고 마지막 Hook은 Governance Hook입니다. 여기에는 등록 NFT 보유자가 후크 변경 사항에 대해 투표할 수 있는 규칙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Second, Codii — a native token minted from locked XRP and burned for Hook-related fees, would reduce the financial strain on users compared to burning XRP directly for smart contract triggers.

둘째, 잠긴 XRP에서 생성되고 Hook 관련 수수료로 소각되는 기본 토큰인 Codii는 스마트 계약 트리거를 위해 XRP를 직접 소각하는 것에 비해 사용자의 재정적 부담을 줄여줍니다.

“To accommodate Hooks, mainnet should consider a new native token with similar tokenomics. Let’s call them Codii,” he wrote.

“Hooks를 수용하기 위해 메인넷은 유사한 토큰경제학을 가진 새로운 기본 토큰을 고려해야 합니다. 그들을 코디(Codii)라고 부르자”고 썼다.

“A new native function would allow users to lock up XRP to mint Codii. The rate would be set initially, but adjustable via vote of validators. This would create a truly native defi use-case for XRP – XRP would come alive and become an earning asset – and ensure all users benefit from the addition of programmability to the network.”

“새로운 기본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XRP를 잠그고 Codii를 발행할 수 있습니다. 비율은 처음에 설정되지만 검증인의 투표를 통해 조정 가능합니다. 이는 XRP에 대한 진정한 네이티브 디파이 사용 사례를 만들 것입니다. XRP는 살아나 수익 창출 자산이 될 것이며 모든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프로그래밍 기능을 추가하여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보장할 것입니다.”

Ripple CTO Skeptical

리플 CTO 회의적

But Ripple CTO David Schwartz expressed skepticism about the need for such complexity. According to Schwartz, simply burning XRP for all transaction fees, as done currently, could streamline operations. He questioned the advantages of introducing Codii, pointing out that it adds burdens like managing two tokens, which could lead to dilution losses for XRP holders.

그러나 Ripple CTO인 David Schwartz는 그러한 복잡성의 필요성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Schwartz에 따르면 현재처럼 모든 거래 수수료에 대해 단순히 XRP를 소각하면 운영이 간소화될 수 있습니다. 그는 Codii 도입의 이점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두 개의 토큰을 관리하는 것과 같은 부담이 추가되어 XRP 보유자에게 희석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Chamberlain Defends The Proposal

체임벌린이 제안을 옹호하다

Chamberlain defended the proposal, arguing that burning XRP for programmability would make smart contracts too expensive if XRP appreciates. He highlighted that Codii would offer a self-sustaining system, where XRP holders could effectively cover Hook fees through inflationary balance adjustments.

Chamberlain은 프로그래밍 가능성을 위해 XRP를 소각하면 XRP의 가치가 높아지면 스마트 계약이 너무 비싸질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이 제안을 옹호했습니다. 그는 Codii가 XRP 보유자가 인플레이션 잔액 조정을 통해 후크 수수료를 효과적으로 충당할 수 있는 자립형 시스템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Our hooks would be too expensive if hosts burned XRP to trigger them. Especially if XRP appreciates,” he commented.

“호스트가 XRP를 태워 트리거한다면 우리 후크는 너무 비쌀 것입니다. 특히 XRP가 높이 평가된다면”이라고 말했다.

However, Schwartz maintained that any system imposing costs on users through token inflation risks complicating fee management without significant benefits. It was also outlined that burning XRP as the sole method for transaction funding keeps the system straightforward, ensuring its accessibility as the value of XRP changes.

그러나 Schwartz는 토큰 인플레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비용을 부과하는 시스템은 큰 이점 없이 수수료 관리를 복잡하게 만들 위험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거래 자금 조달을 위한 유일한 방법으로 XRP를 소각하는 것이 시스템을 간단하게 유지하고 XRP의 가치 변화에 따른 접근성을 보장한다는 설명도 있었습니다.

부인 성명:info@kdj.com

The information provided is not trading advice. kdj.com does not assume any responsibility for any investments made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is article. Cryptocurrencies are highly volatile and it is highly recommended that you invest with caution after thorough research!

If you believe that the content used on this website infringes your copyright, please contact us immediately (info@kdj.com) and we will delete it promptly.

2025年02月02日 에 게재된 다른 기사